본문 바로가기

품질관리15

[품질관리]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분석유형과 분석가능한 물질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유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는 여러 가지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성분간 분리가 일어납니다. 주로 이용되는 순상 및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는 고정상과 이동상의 상대적 극성을 이용하여 성분을 분리시키며, 다른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분리를 유도하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LC의 분석 유형에 대해서 설명하고, 이를 통해 분석할 수 있는 물질들을 설명하겠습니다. 순상 크로마토그래피 (Normal Phase Chromatography) 순상 크로마토그래피는 극성 고정상과 상대적으로 비극성인 이동상을 사용합니다. 순상 크로마토그래피에서 고정상은 일반적으로 극성 화합물과 강하게 상호작용하는 아미노(NH₂) 또는 실라놀(SiOH) 그룹과 같은 그룹이 있는 실리카기 또는 유사한 극성 물질로 구성됩니다... 2025. 3. 20.
[품질관리] LC(또는 HPLC) 란?(원리, 구성요소)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C, Liquid Chromatography)는 제약, 환경, 식품 및 화학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가장 강력하고 다재다능한 분석 기술 중 하나로, 복잡한 혼합물에서 성분을 분리, 식별 및 정량화할 수 있습니다. LC 분석기술은 초기 개발 이후 크게 발전했으며,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가 최근의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표준 형식이 되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기본 원리, 분석 유형에 대해 다루어 봅니다. LC의 기본 원리 LC는 액체 이동상과 고체 고정상 사이의 화합물의 차별적 분배에 기초하여 성분을 분리합니다. 시료가 흐르는 이동상에 주입되면 그 성분들은 두 상.. 2025. 3. 7.
건강기능식품 스마트 GMP의 정의와 특징, 도입 배경 및 과정, 기대효과 및 과제 스마트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는 한국의 건강기능식품 산업에서 품질 및 안전관리를 고도화하기 위해 도입된 혁신적인 제조 및 품질관리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전통적인 GMP 기준을 디지털 기술과 결합하여 더 효율적이고 정확한 품질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스마트 GMP의 핵심 개념과 특징, 그리고 그 영향을 세 가지 주요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건강기능식품 스마트 GMP의 정의와 특징 스마트 GMP란, 건강기능식품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중량, 온도, 시간 등 관리정보를 디지털화해 자동으로 기록, 관리, 저장, 분석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의 주요 목적은 품질 및 안전성 향상, 생산성 증대, 데이터 무결성 확보, 그리고 규제 준수 강화입니다.  스마트 GMP 시.. 2025. 1. 22.
GMP 품질관리기준서 품질관리기준서 품질관리기준서는 건강기능식품의 품질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중요한 문서입니다. 품질관리기준서에는 검체의 채취방법, 검사관리, 시험결과의 평가 및 전달방법 등 생산과 관련된 검사와 신뢰성 관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해야 합니다. 품질관리기준서는 제품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해 작성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제품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품질관리기준서는 품질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모든 직원이 쉽게 이해하고 따를 수 있도록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작성되어야 합니다. 품질관리기준서에는 먼저 시험기록서의 작성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시험기록서에는 제품명, 제조번호, 검체명, 시험항목, 시험방법, 시험결과, 판정결과, 시험자, 시험일자 등의 정보가 기록되어야 하며.. 2025. 1. 21.
GMP 제조위생관리기준서(2) - 방충·방서 관리, 시설위생 관리 제조위생관리기준서에는 방충·방서 관리와 시설위생 관리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방충·방서 관리 방충·방서 관리는 해충과 설치류로부터 제품을 보호하고 작업장의 위생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부분으로, 이를 위해 관리 기준, 시설 및 설비, 침입 확인 방법, 방제 작업 시 주의사항, 기록 관리, 외부 전문업체 위탁 시 관리 방법, 비상 상황 대응 계획 등을 상세히 기술해야 한다. 방충·방서를 위한 관리 기준에는 해충과 설치류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을 설정해야 한다. 이 기준에는 허용 가능한 해충의 수준, 점검 주기, 관리 방법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시설 및 설비에 대해서는 방충망, 에어커튼, 포충등, 쥐덫 등의 설치 위치와 관리 방법을 명시해야만 한다.해충 및 설치류의 침입 확인 방법으로.. 2025. 1. 20.
GMP 제조위생관리기준서(1) - [청소방법 관리],[작업원의 위생관리], [작업 중 위생관리] 제조위생관리기준서는 건강기능식품의 안전성(safety)을 확보하기 위해 필수적인 기준서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 중에서 [청소방법 관리], [작업원의 위생관리], [작업 중 위생관리]에 대해 작성해보겠습니다. 청소방법 관리 청소방법 관리는 작업장의 위생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핵심적인 부분이다. 제조위생관리기준서에는 청소 대상과 부위, 청소주기를 명확히 정의해야 한다. 작업장 바닥, 벽, 천장, 문, 창문, 작업대, 기계 및 설비 등 모든 청소 대상을 포함해야 하며, 각 대상별로 일일 청소, 주간 청소, 월간 청소 등 적절한 청소주기를 설정해야 한다. 청소방법과 사용하는 소독약품 및 기구에 대한 내용도 상세히 기술해야 한다. 각 청소 대상별로 구체적인 청소방법을 명시하고, 사용할 소독약품의 종류, 희석.. 2025. 1. 20.